사찰 41

햇살 가득한 정선 정암사_20240126

정암사는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고한읍 함백산에 위치한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4교구 본사 월정사의 말사다. 함백산은 태백산 북쪽 자락에 위치하여 정선군과 태백시의 경계를 이룬다. 한반도의 5대 적멸보궁 가운데 하나가 자리하고 있기도 한다.적멸보궁은 정선군 정암시에 있는 신신사리를 봉안한 사찰 건물이다.이 건물을 지은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조선 영조 47년 1711에 고쳐 지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 18세기 초에 세운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에도 여러 차례 보수하였다. 자연석 기단 위에 세워진 앞면 3간, 옆면 2칸 규모의 건물이다. 겹처마를 드리우고 옆면에도 지붕이 뻗어 있는 팔작지붕을 올려 화려하다.일반적으로 적멸보궁은 안에 불상을 모시지 않고 근처에 수마노탑을 지어 석가모니의 사리를 봉안한다..

꽃무릇 화염 속 선운산 도솔암_20220917

파도를 타듯 엄청난 인파에 휩쓸려도 좋다.선한 여름기 남아 성숙의 결실을 위한 파란만장한 자연의 추동과 더불어 그 모든 걸 담은 선운산의 옹골찬 의지와 염원은 인파만큼 충천한 꽃무릇과 비할만하다.급한 계단을 오른 의지는 바위틈을 흐르는 목탁소리의 유혹이라 하기엔 이끌린 여운이 대기를 비집고 사방으로 은은히 퍼지는 풍경소리에 비할 수 있다.지고지순한 소망의 결정체, 석탑의 한 귀퉁이가 깨질지언정 바스러질 수 없고, 산사의 기세 등등한 칼바람이 옷깃 여밀지언정 끈끈한 거미줄의 숙명을 도려낼 수 없다.선운산은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과 심원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그리 높지 않은 336m 고도지만 울창한 수림과 계곡, 사찰과 많은 문화재가 있어 1979년 12월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원래 도솔산이었으나 ..

신선의 세계, 상원사_20220504

중력은 약하고, 자태는 묵직한 사찰인 상원사는 남대봉으로 가는 길이라면 꼭 들러야 된다. 탐욕의 비늘이 있는 자리에 나지막이 울리는 산내음이 있고, 둔탁한 엔진소리 대신 발자국 소리마저 숙연하게 만드는 은은한 풍경소리가 있다. 치악산의 파수꾼처럼 잔혹한 세속에서 우뚝 선 절벽 위 큰 어른. 실크로드의 오아시스처럼 유혹이 난무한 산행 뒤에 눈과 가슴으로 갈증을 깨친다. 힘든 여정의 감로수, 치악산 남대봉/상원사_20210817 평소 산을 거의 타지 않는 얄팍한 체력에도 뭔가에 이끌린 듯 무작정 치악산기슭으로 오른 죄. 평면적인 지도의 수 킬로를 우습게 본 죄. 시골 출신이라 자연 녹지의 낭만만 쫓은 죄. 여전히 대 meta-roid.tistory.com 상원사에 들어서면 누구나 약속처럼 감탄사를 남발하게 ..

온연한 사랑의 형태, 회룡포_20220228

굽이마다, 계단 걸음마다 사연을 입고 발자국에 흥을 싣는 울림이 능선 따라 메아리친다. 지난번 자욱한 미세 먼지로 찌뿌둥 대기가 아쉬운 곡소리 남발할 때 못내 아쉬운지 다시 찾은 길은 북풍에 설움 고하며 청명한 민낯의 쑥스런 미소가 마냥 방긋거린다. 봄기운 따라 두터운 꽃가루 뒤집어쓰고 알알이 박힌 겨울색 조롱 하던 꿀벌이 무척 귀하신 몸이라 너룻대 힘겨운 움직임을 응원하는 수밖에. 인간은 223 계단 걸음만 옮기면 강이 새겨 놓은 꽃향기를 담을 수 있지만 봄을 쫓는 꿀벌은 무척이나 고단한 길을 걸어야 한다. 고립을 넘어선 회룡포_20210306 조만간 만나야 될 낙동강이 그토록 설레고 그리웠던지 흐르던 강도 잠시 주춤하여 어눌한 듯 발걸음도 굽이치어 오히려 그 자취는 휘몰아치는 붓끝처럼 육지 속에 아름..

그리움의 육지 섬마을, 회룡포_20220126

회룡포가 재조명 받은 건 삶의 진수가 녹아든 추억의 류와 다르게 억겁 동안 강이 만든 작품에 대한 감탄의 표현 중 경의에 찬 화답이었다. 주변에 발달한 평야의 가운데 우뚝선 작은 산에서 회룡포만큼 포근한 지형에 기대어 종교적 염원을 쌓아 올린 건 인류의 원초적인 방법인데 종교에 대해 별다른 감흥이 없는 나로선 비교적 빈번한 종교인의 거룩을 가장한 타락이 아니라면 이런 자리에 불명확한 미래의 공포와 안도를 넋두리하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 멋진 회룡포의 자태를 더욱 경건하게 하는 건 인간에게 대하는 인간의 역할이기도 하니까. 때마침 찾은 날은 무거운 적막이 아름다운 침묵으로 인지되기에 충분했다. 회룡포를 전망할 수 있는 회룡대로 가는 길에 산책할 심산으로 멀찍이 차를 두고 오르막길을 따라가면 무척 적막하고 ..

역사의 배흘림 기둥, 부석사_20211224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은 무거운 역사를 떠받든 나무의 곡선으로 유명하다. 매서운 삭풍마저 거대한 장벽처럼 버티고 선 백두대간을 넘지 못하고 발길을 돌릴 때 천년 사찰의 나부끼는 시간은 진중한 나뭇결 따라 파란만장한 인류의 애닮은 애환을 속삭인다. 세상 모든 사물에 사연은 있겠지만 역사와 동고동락한 나무 기둥엔 사연이 더해진 생명이 움터 마치 고행의 업을 지고 사는 수도승의 땀방울처럼 온통 갈라진 틈 사이로 휘몰아치는 번뇌의 눈동자가 초롱하다. 세속에서 부석사로 가는 길에 늘어선 나무조차 사욕을 간파한 시선이 돌아오는 길엔 온화한 동행의 미소로 승화된다. 부석사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文武王) 16년(676) 해동(海東) 화엄종(華嚴宗)의 종조(宗祖)인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왕명(王命)으로 창건(創建) 한 화엄..

힘든 여정의 감로수, 치악산 남대봉/상원사_20210817

평소 산을 거의 타지 않는 얄팍한 체력에도 뭔가에 이끌린 듯 무작정 치악산기슭으로 오른 죄. 평면적인 지도의 수 킬로를 우습게 본 죄. 시골 출신이라 자연 녹지의 낭만만 쫓은 죄. 여전히 대낮 기온 30도를 웃도는 여름에도 물 한 병 의지한 채 내가 마냥 청춘이라 착각한 죄.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부실한 준비로 치악산에 오른 건 전적으로 내 책임이었고, 산길로 따라가며 내내 자책했다. 산이름에서 '악'이 들어가는 산은 입에서 '악!'소리가 난다고? 치악산 남대봉을 오르며 카메라 넥스트랩과 백팩조차 땀에 완전 절어 버릴 만큼 체력의 바닥이란 게 이런 기분인가 싶다. 산길 400m가 그렇게 지루하고 더딘지, 평소 인적이 거의 없다는 반증인지 길조차 애매하거나 온통 이끼로 뒤덮인 산길을 의심조차 없이 방..

봄의 진중하고 경쾌한 발걸음, 해인사_20210428

해인사 가는 길에 함께 걷는 봄의 동행으로 말미암아 미소 짓고, 말미암아 감동한다. 천년 고찰이라는 엄숙한 무게감에 첫 발을 내딛는 기억도 잊고 어느새 봄의 친근한 조잘거림에 역시나 자연의 위대함을 느낀다. 나부끼는 연분홍, 새하얀 손짓에 이끌리다 보면 엄숙 했던 취지는 망각되고 주객은 전도되어 인위로 축조된 사찰은 욕망의 과대포장으로, 천년 시간을 거스른 나무는 진정한 경전이 된다. 봄인데도 벌써 나무 터널은 견고해진다. 보기 힘든 대나무 꽃이라고? 봄의 설렘을 녹색으로 표현한다면 이런 색깔과 모양일까? 왕벚꽃이 활짝 만개하여 연신 연분홍으로 감염시킨다. 아래 밭을 갈던 보살(?)의 구수한 훈수에 잠시 주변을 둘러볼 여유를 챙긴다. 바위에 걸터 앉은 철쭉 한 송이. 해인사로 향하는 길에 여러 사찰이 많..

겨울 바람도 침묵하는 삼년산성_20210121

보은 시가지와 인접한 삼년산성과 삼림욕장은 일전에 방문 했던 충주산성처럼 군민들이 애용하는 녹지며 공원이다. 속리산을 가기 위한 관문인 보은 방문은 처음이지만 어느 제약회사 트레이드 마크인 정이품송과 법주사가 유명하다는 것 외엔 아는 바가 없어 이틀 머무르기로 한다. 미리 여행 계획을 치밀하게 세우는 편이 아니라 대략 유명한 곳만 탐색해 보니 말티재와 삼년산성이 눈에 들어왔고, 때마침 말티재 휴양림을 일찌감치 예약한 뒤 간단히 위치 정도만 파악한 상태로 보은에 도착하여 우선 가장 인접한 삼년산성을 들렀다. 산림욕장 내부는 넓고 잘 다져진 길로 미로처럼 연결되어 있고, 얼마 전 내린 눈과 얼어 붙은 여울이 오로지 한다. 걷기 좋은 탄탄한 길을 버리고 여울 따라 울퉁불퉁한 길로 들어서 걷는데 왠지 매끈한 길..

가을 여운조차 아름다운 강천산_20201117

가을이 되어 단풍이 익으면 꼭 찾으리라 다짐했던 강천산은 3대 단풍산이라 칭해도 좋을 만큼 나무도 많지만 이파리 또한 아리따운 선홍색으로 유명세가 한창이다. 더불어 걷기에도 좋고, 주변을 장벽처럼 두른 산들이 있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계절의 매력과 일대의 멋진 풍경들을 감상하기 좋다. 계곡길의 지나친 가공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도 많지만 월정사 전나무길이나 내소사 전나무길처럼 시간이 지나면 걷기 좋은 명소로 입소문을 타고 널리 알려지는 건 시간 문제다. 이미 절정의 단풍을 훌쩍 지나 대부분 낙엽으로 뒹굴고 있는 늦은 시기지만 여전히 찾는 발길은 끊이지 않았고, 미리 예정한 대로 광덕산을 거쳐 좀 더 오래 머무르기로 한다. 최고의 시기에 오면 좋지만 늦었다고 해서 모든 기회를 잃는 게 아니라 새로운 인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