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 대한 넋두리

정적 짙은 파사산성_20190524

사려울 2019. 9. 5. 22:54

파사산성은 막국수로 유명한 여주 천서리와 순대가 유명한 양평 개군면 경계에 위치한 작은 산성으로 남한강이 지나는 지리적인 이점 덕분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올라도 전망이 굿이다.

전국 곳곳을 다녀 보면 의외로 찰진 만족을 주는 숨겨진 여행지가 많고, 알려지지 않은 만큼 고요한 환경에 힘입어 느긋하게 즐길 수 있다.

파사산성 또한 그런 범주의 여행지인데 세마대 독산성과 비슷해서 같은 고장 사람이라면 식상한 동네의 명승지 정도일 수 있겠지만 어디까지나 난 여행자고 생애 처음 밟는 땅이라 알려지지 않은 명승지다.

천서리를 지나 남한강을 따라 양평 방면으로 조금만 더 진행하면 이포보 부근 대신석재가 있는데 거기 텅빈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비교적 잘 다듬어진 등산로를 따라 오르면 얼마 걷지 않아 쉽게 산성의 성곽이 눈에 띄인다.



성곽은 근래에 재건된 게 분명하리 만큼 깨끗하게 다듬어진 돌무더기가 산성의 잔해와 같은 돌무더기와 섞여 있고, 성 내부는 너른 야생의 들판과 같은데 아직은 잡초들이 많이 자라지 않아 매끈하게 보인다.



성곽을 따라 오르면 비탈이 조금 급해지는 지점에서 성곽이 흐트러져 있고, 조금 더 지나면 다시 매끈하게 재건된 성곽이 연결된다.



파사산 자체가 그리 높은 산이 아닌 만큼 오르막길처럼 펼쳐진 성곽의 끝이 정상과 인접한 곳으로 산성에 발을 딛는 순간부터 남한강의 너른 물줄기는 쉽게 관찰 된다.



중턱 쯤에 오를 무렵 바위에 새겨 놓은 마애여래입상이 보이는데 산 가득히 채워진 신록을 뚫고 바위 절벽이 선명한 점처럼 찍혀 있어 오르는 내내 이 모습에 시선을 던지게 된다.

당연히 호기심에 추파를 던졌으니 파사산 정상을 찍고 산성을 대략적으로 둘러본 뒤 다음 수순은 정해진 거다.





성곽을 따라 자근히 오르면서 돌무더기를 자세히 보면 오래된 흔적의 돌과 근래 다듬은 흔적의 돌이 뒤섞인 걸 볼 수 있다.



드뎌 정상에 올라 습관처럼 남한강을 응시하고, 충분히 윤곽과 흐름을 이해한 뒤 주위를 둘러 본다.

정상은 그저 평이하다.

그저 넓고 탄탄하게 닦아 놓은 터에 몇 개의 돌뿌리만 황량한 공간을 채우며 허허로운 자취를 귀띔해 주는 정도.



한강은 이렇게 남에서 북으로, 여주에서 양평으로 유유히 넘어 간다.



한강 조망이 가능한 방향의 반대편은 여주의 너른 평원과 그 너머 미세 먼지에 희미한 원주 방향의 산세를 볼 수 있다.

한강을 끼고 요충지로 산성이 버티고 있다는 건 사방을 한눈에 관찰할 수 있다는 거다.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산성의 흔적들을 다시 복원한 파사성은 여주에서 양평으로 넘어가는 길목을 지키고 있는데 그리 높지 않은 파사산이지만 한강이 펼쳐 놓은 평원을 꿰뚫기 위한 천리안과 같다.

전형적인 불볕더위의 강렬한 햇살을 뚫고 파사성에 오르면 크게 굽이치는 한강과 여주 일대의 광활한 대지를 볼 수 있는데 새로 복원한 성곽을 보면 원래 성의 일부 였던 돌과 복원을 위해 새로 다듬어진 돌들이 섞여 과거의 영광을 재현해 놓았건만 성을 지키던 파수꾼들은 어디론가 자취를 감춰 덩그런 정적만 감돈다.

그나마 몇 군데 다녀본 성곽들에 비해 비교적 충실히 재건되어 남한강 만이 기억할 치열했던 시간들만 반추해 봄 직하다.




파사성곽 밑으로 걸음을 옮기며 수직으로의 성곽이 아닌 수평으로의 성곽도 둘러 본다.

성곽을 지지하는 산세는 적의 침공을 효율적으로 막기 위해 가파른데 여기 또한 마찬가지, 성의 정문과 연결되는 산책로도 시종일관 평탄한게 아니라 중간중간 급격히 가팔라지는 곳도 있지만, 그나마 성곽을 떠받치는 산세에 비하면 양반이다.

성곽과 맞닿은 좁은 가장자리 길을 따라 다음으로 이동한 곳은 오를 때 봤던 마애여래입상으로 종교적인 굳은 신념인 양 바위에 새겨 놓은 벽화 같은 건데 뜨거운 햇살이 여기로 향한 사람들의 발걸음을 끊어 무거운 정적만 감돌았다.



바위에서 정면을 응시하면 남한강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다.

어쩌면 태고 적부터 유구한 시간 동안 한강과 마주하며 서로의 사연을 공감하고 있지 않았을까?




처음엔 입체적인 석상으로 여겼는데 도착 해서 아무리 둘러 봐도 석상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

바위에 아로 새긴 걸 예상 못했고, 더욱 그럴 게 바위 절벽과 그 정면에 보이는 멋진 장면에 시선을 빼앗겼는지 모르겠다.



지나가는 객을 위해 갈증은 두고 가라는 듯 바위 틈 협소한 공간에 소리조차 삼킨 샘은 바위를 타고 굴러온 물방울들이 함께 만들었다.

한강과 바위가 서로 마주 보며 깊은 굴곡을 가진 역사를 함께 응시하는 곳

그런 사연이 깃들어 그 사이에 어떤 나무나 지형도 자리를 틔워 방해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거기에 살짝 디딤돌만 올려 다스릴 수 없는 한을 위대한 자연 앞에 승화 시켰겠지?

때론 말동무가 되어 주기도 했고, 원망도 들었을 거며, 영문 모를 총칼에 협박도 당했겠지만, 여전히 투정을 잊어 주기라도 한 것처럼 무거운 정적 이면의 평온한 고요만 남아 있다.

또한 배려도 빼놓지 않고 이 뜨거운 햇살에 꼬리를 물고 따라올 갈증에 달래라는 샘도 터주었다.

반응형

'일상에 대한 넋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_20190529  (0) 2019.09.05
강화도 워크샵 가는 날_20190525  (0) 2019.09.05
너그러운 남한강에 기대어_20190524  (0) 2019.09.04
여주 온천_20190523  (0) 2019.09.04
일상_20190522  (0) 2019.09.03